보고서 : 2020 경제사회노동위원회 학술연구용역
제목 : 코로나19와 청년노동 실태
수행기관 :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청년위원회
발급날짜 : 2020.12.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청년위원회에서 진행한 연구용역 보고서 결과 자료입니다.
자료는 크게 3가지 주제로 구성되어있습니다.
1. 코로나19와 청년 구직자 실태
2. 특성화고 졸업생 및 졸업예정자 취업 실태
3. 코로나19로 인한 청년의 경제적 피해 실태
[보도 자료]
청년 10명중 9명, “코로나19로 구직 어려워졌다”
- 청년 구직자 우울감 중증도 이상, 여성/장기 구직자/2·3년제 학생일수록 우울감 더 높아
- 특성화고 졸업예정자 … 코로나19로 자격증, 기술, 기능 습득에 어려움 겪어
청년 10명 중 9명은 ‘코로나 19’로 구직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년 구직자들은 심각한 우울감을 느끼고 있고, 특히 여성/장기구직자/초대졸 대학생(졸업자 포함)이 상대적으로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산하 청년위원회(위원장 정보영 청년유니온 정책팀장)가 2.2.(화) 발표한 ‘코로나19와 청년노동 실태’ 연구의 결과이다.
우선 청년들은 코로나19로 구직상황이 어려워졌음을 체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직곤란 정도) 조사에서 청년 구직자의 91%가 코로나19 확산 이후 구직이 어려워졌다고 답했다. ‘코로나 19 확산 이후 구직이 어려워졌다’에 ‘약간 그렇다’(34.7%), ‘매우 그렇다’(57.0%)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인한 구직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으로는 아르바이트, 단기일자리 등 소득 기회 감소(84.7%), 기업의 채용 감축(76.5%), 직업교육훈련, 자격증 시험 등 구직준비 기회 감소(70.8%)의 순으로 나타났다.
(우울감) 코로나19로 인한 우울함의 정도는 ‘중증도’ 이상의 매우 심각한 상태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CES-D 우울감 척도가 23.2점으로 측정되었다. 상대적으로 여성(23.6점), 20대 후반(24.3점), 구직기간 1년 이상(25.9점), 2․3년제 대학 재학 또는 졸업자(25점) 등에서 보다 높은 우울지표가 나타났다.
* CES-D 척도 : 60점 만점에서 16점 이상이면 경증의 우울증상, 21점 이상이면 중등도의 우울증상, 25점 이상이면 중증의 우울증상(전문가와의 상담을 필요로 함)으로 봄.
또한 우울감의 원인인 스트레스 요인(복수응답)은 구직(84.6%)과 생계(68.8%) 순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이 증가하자, 대면 학습이 필수적인 특성화고 졸업예정자의 구직 상황도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처) 특성화고 졸업예정자의 69%는 코로나19로 취업처가 감소했다고 답했다(많이 감소했다 41%, 조금 감소했다 28%). 2020년 취업 준비 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으로(복수응답)는 코로나로 인해 취업에서 대학 진학으로 진로 변경(66%), 채용일정의 연기 또는 취소(63%), 코로나로 인한 자가 취업 노력의 증가(58%), 취업설명회, 채용박람회 등의 연기 또는 취소(54%) 등을 꼽혔다.
또한, 특성화고 졸업예정자의 79%는 코로나19가 고졸채용 상황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응답하였다(약간 부정적 41%, 매우 부정적 38%). (실습) 코로나19가 특성화고 전공분야 실습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등교 일수가 줄어들면서 실습도 줄어들었다(55%), 실습이 온라인 수업으로 이루어졌으나 기능 등을 제대로 익히지 못했다(16%)로 나타났다. (자격증) 코로나19가 자격증 취득에 미친 영향으로는 코로나 19로 인해 취득하지 못한 자격증의 개수에 대해서는 2개(39%), 1개(33%), 3개(17%)로 답하였다.
또한, 코로나19가 자격증 취득에 미친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서는 시험일정이 없어지거나 변경되어 문제가 되었다는 대답이 4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온라인 학습방식) 특성화고 졸업예정자의 70%는 온라인 학습방식이 특성화고 학생의 교육기회에 불리하다고 평가했다(불리함 39%, 매우 불리함 31%). 연구진은 코로나19로 인한 부족한 실습, 계획한 자격증의 취득실패 등은 2021년 특성화고 졸업예정자들이 노동시장에서 갖는 경쟁력을 더욱 떨어뜨리는 상황이 되고 있다고 분석하였다.
정보영 청년위원회 위원장은 “코로나19는 청년 중에서도 구직자, 여성, 전문대 재학생/졸업자, 고졸 청년들에게 더욱 가혹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청년위원회는 이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고용안전망 강화, 청년 금융안전망 마련, 마음건강 지원 정책 등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실태조사는 『코로나19와 청년노동 실태』정책연구용역으로 추진되었다. 실태조사는 코로나19로 인한 급격한 고용 침체에 직격탄을 맞고 있는 계층 중 하나인 청년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정책 사각지대에 해당하는 청년 구직자,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졸업예정자인 청년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만29세 이하 청년 596명, 그리고 특성화고 학생 44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보고서 : 2020 경제사회노동위원회 학술연구용역
제목 : 코로나19와 청년노동 실태
수행기관 :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청년위원회
발급날짜 : 2020.12.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청년위원회에서 진행한 연구용역 보고서 결과 자료입니다.
자료는 크게 3가지 주제로 구성되어있습니다.
1. 코로나19와 청년 구직자 실태
2. 특성화고 졸업생 및 졸업예정자 취업 실태
3. 코로나19로 인한 청년의 경제적 피해 실태
[보도 자료]
청년 10명중 9명, “코로나19로 구직 어려워졌다”
- 청년 구직자 우울감 중증도 이상, 여성/장기 구직자/2·3년제 학생일수록 우울감 더 높아
- 특성화고 졸업예정자 … 코로나19로 자격증, 기술, 기능 습득에 어려움 겪어
청년 10명 중 9명은 ‘코로나 19’로 구직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년 구직자들은 심각한 우울감을 느끼고 있고, 특히 여성/장기구직자/초대졸 대학생(졸업자 포함)이 상대적으로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산하 청년위원회(위원장 정보영 청년유니온 정책팀장)가 2.2.(화) 발표한 ‘코로나19와 청년노동 실태’ 연구의 결과이다.
우선 청년들은 코로나19로 구직상황이 어려워졌음을 체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직곤란 정도) 조사에서 청년 구직자의 91%가 코로나19 확산 이후 구직이 어려워졌다고 답했다. ‘코로나 19 확산 이후 구직이 어려워졌다’에 ‘약간 그렇다’(34.7%), ‘매우 그렇다’(57.0%)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인한 구직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으로는 아르바이트, 단기일자리 등 소득 기회 감소(84.7%), 기업의 채용 감축(76.5%), 직업교육훈련, 자격증 시험 등 구직준비 기회 감소(70.8%)의 순으로 나타났다.
(우울감) 코로나19로 인한 우울함의 정도는 ‘중증도’ 이상의 매우 심각한 상태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CES-D 우울감 척도가 23.2점으로 측정되었다. 상대적으로 여성(23.6점), 20대 후반(24.3점), 구직기간 1년 이상(25.9점), 2․3년제 대학 재학 또는 졸업자(25점) 등에서 보다 높은 우울지표가 나타났다.
* CES-D 척도 : 60점 만점에서 16점 이상이면 경증의 우울증상, 21점 이상이면 중등도의 우울증상, 25점 이상이면 중증의 우울증상(전문가와의 상담을 필요로 함)으로 봄.
또한 우울감의 원인인 스트레스 요인(복수응답)은 구직(84.6%)과 생계(68.8%) 순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이 증가하자, 대면 학습이 필수적인 특성화고 졸업예정자의 구직 상황도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처) 특성화고 졸업예정자의 69%는 코로나19로 취업처가 감소했다고 답했다(많이 감소했다 41%, 조금 감소했다 28%). 2020년 취업 준비 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으로(복수응답)는 코로나로 인해 취업에서 대학 진학으로 진로 변경(66%), 채용일정의 연기 또는 취소(63%), 코로나로 인한 자가 취업 노력의 증가(58%), 취업설명회, 채용박람회 등의 연기 또는 취소(54%) 등을 꼽혔다.
또한, 특성화고 졸업예정자의 79%는 코로나19가 고졸채용 상황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응답하였다(약간 부정적 41%, 매우 부정적 38%). (실습) 코로나19가 특성화고 전공분야 실습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등교 일수가 줄어들면서 실습도 줄어들었다(55%), 실습이 온라인 수업으로 이루어졌으나 기능 등을 제대로 익히지 못했다(16%)로 나타났다. (자격증) 코로나19가 자격증 취득에 미친 영향으로는 코로나 19로 인해 취득하지 못한 자격증의 개수에 대해서는 2개(39%), 1개(33%), 3개(17%)로 답하였다.
또한, 코로나19가 자격증 취득에 미친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서는 시험일정이 없어지거나 변경되어 문제가 되었다는 대답이 4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온라인 학습방식) 특성화고 졸업예정자의 70%는 온라인 학습방식이 특성화고 학생의 교육기회에 불리하다고 평가했다(불리함 39%, 매우 불리함 31%). 연구진은 코로나19로 인한 부족한 실습, 계획한 자격증의 취득실패 등은 2021년 특성화고 졸업예정자들이 노동시장에서 갖는 경쟁력을 더욱 떨어뜨리는 상황이 되고 있다고 분석하였다.
정보영 청년위원회 위원장은 “코로나19는 청년 중에서도 구직자, 여성, 전문대 재학생/졸업자, 고졸 청년들에게 더욱 가혹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청년위원회는 이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고용안전망 강화, 청년 금융안전망 마련, 마음건강 지원 정책 등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실태조사는 『코로나19와 청년노동 실태』정책연구용역으로 추진되었다. 실태조사는 코로나19로 인한 급격한 고용 침체에 직격탄을 맞고 있는 계층 중 하나인 청년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정책 사각지대에 해당하는 청년 구직자,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졸업예정자인 청년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만29세 이하 청년 596명, 그리고 특성화고 학생 44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